취급품목

헤   드 : 미우라, 조디아, 로디오, 미스테리, 제스타임, 엑시스골프, 브리지스톤, 이븐롤 외
샤프트 : 투어AD, 후지쿠라, 바실리우스, 기어스, 로디오 외
그   립 : 골프프라이드, 이오믹, 캐비어, 퍼펙트프로

 



2025.    현 "피팅존" 골프피팅전문샵

 

2024.01 벤드포인트 측정기 도입

 

2020.01.  국내 피팅샵 최초 클럽헤드 무게중심(CG)측정장비 도입

 

2020.01.  피팅존(FITINGZON) 사명 변경

 

2017.04.  아이언 클럽피팅장치(슬리브) 특허출원 _ 특허청장

 

2016.08.  Golfsmith CLUBMAKER TRAINING _ Golfsmith

 

2014.07.  K.G.F Membership_ 사단법인 KGF한국골프연맹

 

2013.01   국내 피팅샵 최초 EI BEND PROFILE 측정장비 도입 및 피팅적용

 

2012.04.  샤프트 스파인 측정장비 도입

 

2012.04.  샤프트 토크 측정장비 도입

 

2012.04.  스펙게이지(라이, 로프트 측정기)+ 프리미엄 밴딩기 도입

 

2012.04.  TPI CERTIFIED _ Titleist PERFORMANCE INSTITUTE

 

2012.03.  골프피팅 전문매장 "클럽메이커스 고양점" 설립

 

초경량 ‘킬러 샤프트’

요넥스 KAIZA-LIGHT 39g, 중·저속 골퍼의 ‘비거리 구세주’ 될까

46인치 롱드라이버 트렌드 속에서 요넥스가 내놓은 초경량 드라이버 샤프트 **‘KAIZA-LIGHT 39g’**가 주목받고 있다. “가볍지만 단단한 손맛”을 강조한 이 모델은 팁(헤드 쪽)은 부드럽고, 버트(그립 쪽)는 단단한 EI(강성) 곡선을 지녔다. 피팅존 EI 분석에 따르면, 시니어·여성 골퍼가 겪는 탄도 부족슬라이스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잠재력을 갖췄다.

EI 분석 결과

피팅존 측정 자료에 따르면, KAIZA-LIGHT는 팁 구간 강성이 낮아 임팩트 직전 헤드를 자연스럽게 세운다. 반면 버트 구간은 30 kN·mm² 이상의 높은 강성을 보여, 임팩트 시 헤드 위치와 로딩감을 명확히 느끼게 한다. 한마디로 ‘Tip-Soft / Butt-Stiff’ 구조다.

이 구조는

  • 발사각과 백스핀을 동시에 높여 캐리를 10~15m 늘려주고
  • 팁의 빠른 복원력으로 슬라이스 가능성을 낮추며
  • 39g 초경량 덕분에 46인치 제작에도 체력 부담을 최소화한다.

추천 헤드 조합

높은 탄도와 스핀을 상쇄하려면 ▲CG 깊이 18mm 이상 ▲로우스핀 설계의 헤드가 적합하다.
Zodia의 Z935 , PING G430 MAX, TaylorMade Qi10 MAX, Callaway Ai-Smoke MAX-D가 대표적이며, 헤드 무게는 ±200g 이 권장된다. 로프트는 기존 대비 0.5°~1° 낮춰 세팅하는 것이 좋다.

타깃 골퍼

  • 헤드스피드 90~95mph
  • 50g대 샤프트가 무겁게 느껴지는 골퍼
  • 캐리 손실·슬라이스·체력 부담을 동시에 겪는 중·저속 골퍼

특히 시니어·여성 골퍼가 46인치 드라이버를 제작해 사용해도 부담이 적다.

주의할 점

팁이 매우 부드러워 헤드스피드 95mph 이상 하드히터나 훅 성향 골퍼는 왼쪽 미스가 심해질 수 있다. 이 경우 ▲강도 조정 ▲팁 강성 높은 모델로 교체가 필요하다. 또한 스윙웨이트가 지나치게 낮아질 경우, 헤드 또는 토우 쪽에 3~5g 무게 추가로 보정할 수 있다.


정리
팁은 부드럽게 휘어 볼을 띄우고, 버트는 단단히 받쳐 컨트롤을 살리는 EI 설계. 중·저속 골퍼가 로우스핀·딥 CG 헤드와 조합하면 최대 효용을 볼 수 있다. 다만 왼쪽 미스가 고민인 하드히터는 반드시 비교 테스트를 거치는 것이 안전하다.

 


이 제품에 대한 피팅문의는 T.031-973-1872 피팅존

 

 

그립 교체 시에는 단순히 “새 그립을 끼운다” 이상의 중요한 요소들이 있습니다. 잘못하면 샤프트 손상, 스윙 밸런스 변화, 사용감 불만족 같은 문제가 생길 수 있어서 피팅 관점에서 꼼꼼하게 체크해야 합니다.


1. 그립 사이즈

  • 손 크기와 그립 압력에 맞게 선택
    • 손이 작은 골퍼: 언더사이즈 또는 스탠다드
    • 손이 큰 골퍼: 오버사이즈 또는 미드사이즈
  • ※스윙타입에 따른 그립 굵기 선택
  • 사이즈가 맞지 않으면 손목 회전 타이밍이 변해 방향성이 불안정해질 수 있음
  • 테이프 감는 횟수로 미세 조정 가능 (1겹 ≈ +1/64인치)

2. 그립 무게와 스윙웨이트 변화 계산법

  • 무게 변화 4g ≈ 스윙웨이트 1포인트 변화
  • 무거운 그립 → 스윙웨이트 감소(헤드 가벼움 느낌)
  • 가벼운 그립 → 스윙웨이트 증가(헤드 무거움 느낌)
  • 계산법 예시:예) 기존 50g → 새 그립 60g = (50-60)/4 = -2.5포인트 변화
  • 스윙웨이트 변화량 = (교체 전 그립 무게 - 교체 후 그립 무게) ÷ 4

3. 그립 재질과 표면 패턴

  • 코드형: 땀·비에 강하고 미끄럼 방지 우수, 단단한 촉감(대표적인 그립=골프프라이드의 MCC)
  • 러버형: 부드럽고 충격 흡수 우수, 내구성은 다소 낮음(고무재질로 된 그립)
  • 표면 패턴은 손 모양, 그립 압력, 스윙 스타일에 맞게 선택

4. 그립 장착 방향

  • 로고, 패턴 각도는 셋업과 정렬 습관에 영향
  • 퍼포먼스 그립은 방향이 틀어지면 손 위치가 변함

5. 샤프트 상태 점검

  • 카본 샤프트는 칼질 시 흠집 위험 → 보호 필수
  • 기존 테이프와 접착제 완전 제거

6. 테이프와 용액

  • 테이프 감는 위치·횟수로 사이즈와 촉감 조정
  • 용액은 마르는 시간을 고려해 적정량 사용

7. 건조·세팅 시간

  • 최소 2~4시간, 완전 건조 24시간 권장
  • 마르기 전 사용 시 그립 회전 위험

 

그립교체하는 방법

 


📌 그립 사이즈·무게 선택 가이드 표

손 크기권장 사이즈권장 무게비고

17cm 이하 언더사이즈 45~50g 손목 회전 빠른 타입
18~20cm 스탠다드 48~52g 평균 체형·스윙
21cm 이상 미드사이즈 50~60g 안정적 그립 압력 선호
손 힘 강함 미드~오버 52~65g 방향성 안정

그립 교체는 단순 소모품 교체가 아니라, 손·스윙·장비 밸런스에 직결되는 피팅 요소입니다. 교체 전후 무게와 사이즈를 계측하고, 샤프트 보호와 정렬 방향까지 확인하면 훨씬 안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라이각(Lie Angle)은 골프 클럽 피팅에서 굉장히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특히 아이언과 웨지에서 방향성과 탄도, 임팩트 퀄리티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1. 라이각의 정의

  • 샤프트 중심선과 솔(Sole)면이 이루는 각도를 말합니다.
  • 쉽게 말해, 어드레스 상태에서 샤프트가 얼마나 세워져 있느냐, 눕혀져 있느냐를 숫자로 나타낸 값입니다.
  • 단위: 도(°), 예: 62°, 64° 등.

2. 라이각이 미치는 영향

라이각 상태특징영향
정상(Neutral) 임팩트 시 솔이 지면과 평행 볼이 목표 방향으로 곧게 감
업라이트(Upright) 힐이 먼저 닿음, 샤프트가 서 있는 상태 임팩트 시 페이스가 왼쪽을 향함 → 훅/드로우 구질 증가
플랫(Flat) 토우가 먼저 닿음, 샤프트가 눕는 상태 임팩트 시 페이스가 오른쪽을 향함 → 슬라이스/페이드 구질 증가

3. 잘못된 라이각의 문제점

  • 방향성 불안:
    1° 차이만 나도 약 3~4m 정도의 방향 편차 발생 (150m 기준)
  • 임팩트 품질 저하:
    솔이 한쪽만 닿으면 스윙 밸런스가 깨지고 볼 압축이 줄어듦
  • 스윗스팟 벗어난 타격:
    토우·힐 쪽 타격 빈도 증가 → 비거리·스핀 손실

4. 라이각 피팅 시 고려 요소

  1. 스윙 타입:
    • 다운블로가 강하면 임팩트 시 샤프트가 세워져 업라이트 경향
    • 스윙이 플랫하면 반대로 임팩트에서 라이각이 눕는 경향
  2. 신체 조건:
    • 키, 팔 길이, 어드레스 자세
  3. 스윙 템포 및 로딩:
    • 강하게 치면 샤프트가 더 휘어져 라이각이 순간적으로 변함
  4. 클럽 길이:
    • 길이가 길수록 라이각이 플랫해지고, 짧으면 업라이트

5. 피팅에서의 라이각 조정

  • 측정 방법:
    • 라이각 측정 장비, 임팩트 테이프, 로프트·라이 기계
  • 조정 범위:
    • 보통 ±2°까지 가능(제조사·헤드 재질에 따라 다름)
  • 절차:
    1. 스윙 데이터와 임팩트 위치 확인
    2. 솔 접지 패턴 분석
    3. 0.5°~1° 단위로 조정 후 재검증


6. 실제 피팅 예시

예를 들어, 임팩트 시 토우가 계속 들리고 볼이 우측으로 출발한다면 → 라이각 업라이트 조정(+1°)
반대로 힐이 들리고 볼이 좌측으로 출발한다면 → 라이각 플랫 조정(−1°)


정리하면, 라이각은 **방향성의 키(Key)**입니다.
스윙 궤도, 임팩트 자세, 클럽 길이까지 함께 고려해서 맞춰야 하고, 단순히 “왼쪽 가면 플랫, 오른쪽 가면 업라이트”라는 공식만 믿고 조정하면 안 됩니다.
**임팩트 순간의 동적 라이각(dynamic lie)**을 보는 것이 진짜 피팅입니다.


다음은 정적 라이각동적 라이각의 차이, 그리고 라이각 1° 변화가 구질에 주는 영향을 표와 이미지 설명 형식으로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정적 라이각 vs 동적 라이각

구분정의측정 방법특징
정적 라이각 (Static Lie) 클럽을 지면에 놓고 측정한 라이각 로프트·라이 게이지에 올려 측정 스펙상 각도 / 출고 시 데이터
동적 라이각 (Dynamic Lie) 실제 스윙 중 임팩트 순간의 라이각 임팩트 테이프, GC Quad 등에서 측정 스윙 동작, 체중 이동, 샤프트 휘어짐까지 반영

피팅에서는 정적 라이각만 보는 게 아니라 동적 라이각을 기준으로 조정해야 합니다.
스윙이 강하면 샤프트가 휘어 업라이트해지고, 부드럽게 치면 플랫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2. 라이각 변화에 따른 구질 편차

라이각이 1° 변하면, 150m 샷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방향이 변합니다.

라이각 변화방향 편차(150m 기준)구질 변화
+1° 업라이트 +3~4m 좌측 훅/드로우 경향
-1° 플랫 +3~4m 우측 슬라이스/페이드 경향

※ 단, 페이스·패스 조합이 일정하다는 가정 하에, 라이각만 변했을 때의 영향입니다.


3. 이해를 돕는 이미지 설명

  • 업라이트 라이각(Heel Down)
    임팩트 순간 힐이 먼저 닿아 페이스가 목표선 대비 왼쪽을 향하게 됩니다.
    → 드로우/훅 구질 발생
  • 플랫 라이각(Toe Down)
    임팩트 순간 토우가 먼저 닿아 페이스가 목표선 대비 오른쪽을 향하게 됩니다.
    → 페이드/슬라이스 구질 발생

4. 피팅 시 주의사항

  1. 샤프트 휘어짐 고려
    • 강한 다운블로·빠른 스윙: 샤프트가 휘며 동적 라이각이 업라이트로 변함
    • 부드러운 스윙: 동적 라이각 변화 폭이 작음
  2. 클럽 길이 연계
    • 길이를 늘리면 라이각이 플랫해짐
    • 줄이면 업라이트해짐
  3. 스윙 스타일
    • 손목 사용이 많은 골퍼는 토우가 떨어지고 플랫 경향
    • 몸통 회전이 큰 골퍼는 업라이트 경향

 

스윙웨이트(Swing Weight)와 MOI 매칭(MOI Matching)은 피팅에서 자주 혼동되는 개념이지만, 실제로는 측정 기준과 목적이 완전히 다릅니다.


1. 스윙웨이트 (Swing Weight)

정의

  • 클럽의 ‘무게’가 아니라, **무게의 분배(헤드 쪽 무게감)**를 숫자로 표현한 지표입니다.
  • 14인치(35.56cm) 지점에 피벗 포인트를 두고 클럽을 수평으로 올렸을 때의 ‘토크 밸런스’를 계측합니다.
  • 단위는 D2, D3처럼 문자+숫자 조합으로 표시됩니다.

특징

  • 같은 총중량이라도, 헤드 무게가 더 무겁거나 길이가 길면 스윙웨이트가 커집니다.
  • 손에 느껴지는 ‘헤드 무게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줍니다.
  • 측정 장비: 스윙웨이트 스케일.

SW측정장비

장점

  • 계산이 간단하고, 오래 전부터 사용돼온 표준 지표.
  • 골퍼가 체감하는 무게감 조절에 유리.

단점

  • 샤프트 무게 분포, 그립 무게 변화, 전체 길이 변화 등에 따라 쉽게 변동.
  • 클럽 간 관성 특성을 완벽하게 동일하게 만들 수 없음.
  • MOI와 달리 ‘실제 스윙 시 저항’을 물리적으로 설명하지 못함.

2. MOI 매칭 (Moment of Inertia Matching)

정의

  • MOI(관성모멘트)는 스윙 시 클럽을 회전시키는 데 필요한 저항 값입니다.
  • 클럽 전체 질량 분포를 반영해 **회전 관성값(kg·cm²)**으로 표시합니다.

특징

  • 스윙 시 느끼는 ‘전체 관성’을 일정하게 맞추는 방식.
  • 일반적으로 MOI 값이 클수록 스윙 시 더 무겁게 느껴지고, 작을수록 가볍게 느껴집니다.
  • 측정 장비: MOI 매칭 기계(Ex. Auditor, GolfMechanix MOI Machine).

MOI 측정장비

장점

  • 모든 클럽에서 동일한 스윙 타이밍과 하중감을 구현 가능.
  • 샤프트·그립·헤드 무게 변화에도 총관성을 기준으로 조정.

단점

  • 측정 장비가 비싸고, 작업 과정이 복잡.
  • 클럽 길이 변화가 제한됨(길이 변화가 MOI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

3. Swing Weight vs MOI Matching 비교

항목Swing WeightMOI Matching
측정 기준 14인치 피벗 지점에서의 균형 토크 클럽 전체 회전 관성
표시 단위 D0, D1, D2… 숫자 (예: 2750 kg·cm²)
중요 요소 헤드 무게감 스윙 타이밍·저항감
정밀성 비교적 단순 더 정밀한 통일 가능
장비 필요 스윙웨이트 스케일 MOI 측정기
피팅 활용 감각적인 무게감 조정 전 클럽 세트 타이밍 통일

4. 피팅 적용 전략

  • 스윙웨이트 기준 피팅:
    → 감각 위주, 빠른 조정 가능, 전통적인 방식.
    → 예: D2를 기준으로 모든 아이언 조정.
  • MOI 매칭 기준 피팅:
    → 스윙 메커니즘과 타이밍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경우.
    → 예: 2750 kg·cm²로 모든 아이언 통일.

5. 결론

  • 스윙웨이트는 헤드 무게감을 맞추는 방식, MOI 매칭은 스윙 시 저항감을 맞추는 방식입니다.
  • 초급~중급 피팅에서는 스윙웨이트로도 충분히 좋은 결과를 낼 수 있지만,
    고급 피팅이나 투어 수준에서는 MOI 매칭으로 세팅 완성도를 높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피팅존 소개 & 예약

정밀함은 기본, 피팅의 기준을 새로 쓰다. 피팅존은 단순 판매가 아닌 데이터 기반 정밀 피팅을 지향합니다.

  • 국내 최초 아이언 슬리브 자체 제작·특허
  • 국내 최초 헤드 무게중심(CG) 측정 장비 도입
  • 국내 최초 샤프트 EI 프로파일 분석 장비 도입

정확한 수치와 정직한 피팅으로, 한 번 받아보시면 왜 다른지 바로 느끼실 겁니다.

 

예약·문의
☎ 031-973-1872

정밀하고 믿을 수 있는 피팅, 오직 피팅존에서 경험하세요.

 

 

 

+ Recent posts